본문 바로가기
  • ㄹㅇ

SQL7

[SQLD] 3절. 계층형 정의와 셀프조인 계층형 정의가 나오는데 이게 상당히 어렵다... 값들 간 상하 관계가 존재할 때에 그 상하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듯하다. 예를 들어 회사의 사원들을 표시할 때, 각 사원의 정보와 함께 직급의 상하 관계를 같이 보여줄 수 있다. ORACLE이랑 SQL SERVER에서 각각 사용법이 많이 달라서 하나씩 살펴보겠다. ​ ORACLE SELECT ... FROM TAB WHERE condition AND condition ... : 모든 항을 전개시킨 이후에 조건에 맞는 항만 추출 START WITH : 계층 구조의 시작점, 루트 데이트 지정하는 역할 CONNECT BY [NOCYCLE] PRIOR A = B : 다음에 전개될 자식 데이터를 지정한다. [NOCYCLE] 은 이미 나타난 데이터가 다시 나.. 2024. 4. 17.
[SQLD] 조인과 집합연산자 1절. 조인 조인은 SQL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서로 다른 테이블에 놓인 정보를 한번에 가져올 수 있게 해준다. ​ 종류 INNER JOIN : 조인을 거는 조건절에 서로 같은 값이 있는 행만 반환한다. NATURAL JOIN : 두 테이블 간에 동일한 이름을 갖는 모든 칼럼에 대해 EQUI JOIN을 시행한다. 이때에는 자동적으로 조인에 참여하는 칼럼이 정해지므로 USING 이나 ON 조건절은 사용할 수 없다. 또한 조인에 사용된 칼럼이 가장 먼저 출력된다. CROSS JOIN : 두 테이블에 조인할 칼럼이 없는 경우 CROSS JOIN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을 출력할 수 있다. 다만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. OUTER JOIN : 두 테이블에 JOIN 조건절에서 동일한 값이 없는 행도 NUL.. 2024. 4. 17.
[SQLD] SQL 내장 함수 요약 정리 SQL에 내장된 함수들이 있는데 SQL server와 Oracle의 경우에 서로 조금씩 문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. / 로 앞쪽에 Oracle/ 뒤에 SQL server로 구분하여 같은 기능을 하는 함수를 묶어서 표현하였습니다. 크게 문자형, 숫자형, 날짜형, 변환형 함수 4개로 구분하여 설명하겠습니다. ​ 문자형 함수 - 말 그대로 문자의 표현에 관련된 함수이다. LOWER(문자열) : 문자열의 알파벳을 소문자로 바꾼다. UPPER (문자열) : 문자열의 알파벳을 대문자로 바꾼다. ASCII(문자) : 문자나 숫자를 아스키코드로 표현한다. CHR/CHAR(ASCII 코드) : 아스키코드를 문자나 숫자로 표현한다. CONCAT (string1, string2) : 문자열 2개를 합쳐서 표현한다. '||' .. 2024. 4. 17.
[SQLD] 2과목 SQL 기본 및 활용 1절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​ SQL 문장의 종류 DML(데이터 조작어) : (SELECT, INSERT, UPDATE, DELETE) 데이터베이스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변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다. DDL(데이터 정의어): (CREATE ALTER DROP RENAME)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다. DCL(데이터 제어어): (GRANT REVOKE)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사용하는 권한에 관한 명령어다. TCL(트랜잭션 제어어) : (COMMIT ROLLBACK) 트랜잭션 별로 제어하는 명령어다. ​ 2절. DDL 데이터 유형 CHARACTER(S) : 고정길이 문자열 정보(남는 자리는 공백으로 채움) VARCHAR : 가변길이 문자열 정보(남는 자리가 없음.. 2024. 4. 17.